카이로스는 메모리 기반 디비라서 빠르다. 그런데 이 메모리가 스왑되면 일반 관계형데이타베이스와 다를것이 없어지므로 카이로스가 사용하는 메모리는 스왑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으며 이를 핀 메모리(맞나?) 설정이라고한다.

우선 설정 파일( kairos.properties )을 열어서 핀 메모리 설정값이 on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아마도 되어있을것이다.

su - (root 권한이 필요하다)

ln-s libcci.so /usr/lib64/libcci.so

카이로스 실행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가서 소유자를 바꿔준다.
chown root kairos
chmod 4755 kairos

여기까지 진행한뒤에 카이로스를 기동시키면 핀 메모리 설정이 잘 되었는지 메세지가 출력될것이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IT 기술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ax Day 2013 참석  (0) 2013.09.10
PGXC-Tools : Postgres-XC를 좀더 편리하게  (0) 2013.06.05
PostgreSQL 9.3의 신기능 : Materialized view  (0) 2013.03.08
Postgres-XC 위키 이전  (0) 2013.02.19
PostgreSQL 9.2.2 Release!!  (0) 2012.12.14
우연히 알게된 Chronos라는 작업 scheduler. 요게 airbnb에서 개발한거라는데 분산 환경에서 장애에 대한 처리까지 가능한거 같다.

http://airbnb.github.com/chronos/

아래는 소개 글의 일부이다.
Chronos

Fault tolerant job scheduler that handles dependencies and iso8601 based schedules.

View the Project on GitHub airbnb/chronos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GeoKettle의 새 버전이 나왔다.
2.5와 3.0인데, 2.5는 커뮤니티 버전이고 3.0은 상용의 엔터프라이즈 버전이다.

달라진 점
1. 더이상 소스포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없다.
이제는 자사의 SpatialyticsMarket에서 회원 가입을 하고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물론 2.5 버전은 무료이다. 아직 회원 가입을 안해서 실제로 다운로드는 안 해봤지만, 일단 화면상에는 0달러로 표시되어있다.

2. ArcGIS 10 파일 읽기, 쓰기 지원

3. Mac OS X에서 64비트 모드로 실행.

4. 이전 버전에서 소개되었던 여러 기능들이 고도화되었다.
이부분은 나도 잘 모르는 기능들이라... 통과!!

암튼 집에가서 다운로드 받아봐야겠다.

http://geokettle.com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greSQL 9.3에서 선보일 새기능에 대한 소식이다.

아래 주소는 관련 내용을 볼 수 있는 Michael Paquier의 블로그 글이다.
http://michael.otacoo.com/postgresql-2/postgres-9-3-feature-highlight-materialized-views/

흔히 오라클에서 M-View라고 부르는( 티베로도 동일한 이름이다. ) Materialized view가 드디어 PostgreSQL 9.3 버전에 추가 된다.

좀더 융통성있는 데이타 서비스( 개발자들에게 )가 가능해질듯하다. 쓸만할듯...

CREATE MATERIALIZED VIEW
ALTER MATERIALIZED VIEW
DROP MATERIALIZED VIEW
REFRESH MATERIALIZED VIEW
위의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9.3 버전이 빨리 공개되길 바란다.

신기능들을 좀 더 자세히 공부해 봐야겠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Oracle 11g에서 디비 문제 원인 분석을 위한 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한 글이다.

https://kr.forums.oracle.com/forums/thread.jspa?threadID=1057734&tstart=0

위의 링크를 따라가면 원문을 볼 수 있다.


오라클11g는 로그와 트레이스 파일의 생성 및 관리가 기존과 많이 다르다. adr이라는 로그와 트레이스 파일을 통합 관리 툴(? 시스템?)이 있어서 생각보다 편리하게 쓸 수 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오픈소스 데이타베이스 PostgreSQL을 기반으로 분산 처리가 가능한 cluster db를 만드는 Postgres-XC project 홈페이지에 갔다가 위키가 이전된걸 발견했다.
소스포지의 위키에서 아래의 링크로 바꼈다는 안내되어있다. 소스포지의 위키 서비스가 종료되어서 이전했다고 한다.

http://postgresxc.wikia.com/wiki/Postgres-XC_Wiki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드디어 PostgreSQL 9.2.2가 나왔습니다.
큰 문제들은 이제 다 정리된듯 합니다.

http://www.postgresql.org/about/news/1430/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