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기능이지만, 그동안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서 몰랐던 거라서 이번에 정리해봅니다.
authorized key를 이용해서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과정 없이 로그인하는 방법입니다.
원문 보기 : SSH 로그인시 패스워드 인증과정 없이 로그인 처리하기
SSH에서 ssh-keygen을 이용해서 RSA 키를 만들고, 이 키 값을 가지고 비밀번호 입력없이 인증 처리를 하게하면 편안하게 scp 같은 유틸을 이용할 수 있네요.
1. sshd 설정 변경
# cd /etc/ssh
# vi sshd_config
RSAAuthentication yes
PubkeyAuthentication yes
AuthorizedKeysFile .ssh/authorized_keys
# service sshd restart
2. rsa 키 만들기
$ ssh-keygen -t rsa
엔터키 세번(네번이던가요???)
$ ls
id_rsa id_rsa.pub
$ cp id_rsa.pub authorized_keys
$ vi authorized_keys
여기서 내 서버의 키 값을 복사해서 상대방 서버의 파일에 추가해주고 내 파일에는 상대방 서버의 키 값을 추가해주면된다.
위의 내용은 대략... 정리한겁니다. 이렇게 대충정리하면 나중에 못 알아볼지도 모르지만요... ㅋㅋ
authorized key를 이용해서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과정 없이 로그인하는 방법입니다.
원문 보기 : SSH 로그인시 패스워드 인증과정 없이 로그인 처리하기
SSH에서 ssh-keygen을 이용해서 RSA 키를 만들고, 이 키 값을 가지고 비밀번호 입력없이 인증 처리를 하게하면 편안하게 scp 같은 유틸을 이용할 수 있네요.
1. sshd 설정 변경
# cd /etc/ssh
# vi sshd_config
RSAAuthentication yes
PubkeyAuthentication yes
AuthorizedKeysFile .ssh/authorized_keys
# service sshd restart
2. rsa 키 만들기
$ ssh-keygen -t rsa
엔터키 세번(네번이던가요???)
$ ls
id_rsa id_rsa.pub
$ cp id_rsa.pub authorized_keys
$ vi authorized_keys
여기서 내 서버의 키 값을 복사해서 상대방 서버의 파일에 추가해주고 내 파일에는 상대방 서버의 키 값을 추가해주면된다.
위의 내용은 대략... 정리한겁니다. 이렇게 대충정리하면 나중에 못 알아볼지도 모르지만요... ㅋㅋ
'IT 기술 >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개] IBM DW : Speaking UNIX: rsync 고급 애플리케이션 (0) | 2009.11.18 |
---|---|
[소개] Linux 전력 소비량 줄이기 Part 1, 2 (0) | 2009.11.09 |
Shell에서 원하는 파일을 조회한 뒤에 옮기는 명령 (0) | 2009.07.01 |
Ext4 분석 (0) | 2009.06.22 |
Fedora 11 릴리즈가 얼마 남지 않았네요. (0) | 2009.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