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에 작성된 글이지만 이번에 번역되서 올라온 유닉스 쉘 관련 글을 소개하려합니다. 늘 그렇듯이 유닉스에서의 쉘의 유용함은 끝이 없죠. 최근에는 MS에서도 파워쉘이라는 걸 발표해서 커멘드라인에서의 관리 기능을 강화하곤했죠.
이번에 소개할 문서는 튜토리얼 형태로 "쉘 명령 실행하기", "쉘 산술 연산과 진법 변환", "인라인 입력", "쉘 안에서 쉘 실행하기", "연속 루프", "키보드 입력 읽기"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튜토리얼 보러가기 : 초보자를 위한 유닉스 팁과 기교, Part 4: 알아두면 유용한 셸 기교
셸 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자동으로 처리하고 싶은 상황이 가끔 생깁니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간단한 본(Bourne) 셸 스크립트로 이러한 상황을 처리하는 예제를 소개합니다. 구체적으로 (10진수를 16진수로, 16진수를 10진수로, 10진수를 8진수로 등) 진법 변환하기, 파이프로 연결한 루프에서 키보드 입력 읽기, 셸 안에서 셸 실행하기, 인라인 입력, 디렉터리 내 모든 파일에 명령을 한 번씩 실행하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속 루프 만들기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튜토리얼 마지막에는 알아두면 편리한 한 줄짜리 셸 스크립트 모음도 제공합니다.
이 튜토리얼 내에서
- 셸 명령 실행하기
- 셸 산술 연산과 기본 변환
- 인라인 입력
- 셸에서 셸 실행하기
- 연속 루프
- 키보드 입력 읽기
- 정리
목표
이 튜토리얼은 셸을 사용하여 다양한 수준에서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려는 게 목적이다. 특수한 상황에 유용한 팁과 기교를 제공하며, 자주 수행하는 작업에 유용한 한 줄짜리 셸 스크립트 모음도 제공한다.
선수조건
이 튜토리얼은 유닉스(UNIX®)에 비교적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유닉스 파일 시스템, 명령행, 파일과 디렉터리 명령, vi
같은 편집기로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는 방법 등 기본 개념만 이해하면 충분하다. 필요한 모든 개념은 튜토리얼 Part 1, 2, 3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시스템 필요조건
본(Bourne) 셸이나 본 셸과 호환되는 셸이 돌아가는 유닉스 시스템이 필요하다. 배시(bash
) 셸도 괜찮다. 또한 시스템에 로그인할 사용자 계정도 필요하다. 이 외에 별다른 요구사항은 없다.
'IT 기술 > Developer 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개]Python 3 입문, Part 1: 새로운 기능 (0) | 2009.03.24 |
---|---|
[소개]IBM DW : 사람을 위한 자동화: 마법사 기반 설치 프로그램 사용하기 (0) | 2009.01.29 |
IBM DeveloperWorks : 리눅스 저널링 파일 시스템 분석 (0) | 2009.01.03 |
IBM DeveloperWorks : JRuby와 스윙(Swing)으로 크로스 플랫폼 개발 (0) | 2008.12.30 |
IBM DeveloperWorks : 반드시 알아둘 AIX 명령 (0) | 2008.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