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분의 PC를 이용해서 저렴하게 혹은 개발 및 테스트 용도로 NAS를 구축하려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적어도 오라클의 OTN 문서등을 통해서 Oracle RAC를 테스트 용도로 구축하려는 사람들에게 낯익은 이름의 운영체제가 있다. 바로 Openfiler다.

Openfiler는 리눅스 기반의 NAS 운영체제다. 관리용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일반적인 x86기반 PC에 설치가 가능하다.

설치 후 HDD에 사용하지 않는 볼륨 그룹이 존재한다면 바로 ext3, ext4, iSCSI 등으로 공유를 할 수 있다.

다음에는 화면과 함께 좀더 친절한 사용법을 작성하려한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CentOS 6.2를 설치하면 예전과 다르게 scim이 아니라 ibus를 통해서 한글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뭐 이건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쓰면되지 뭐... 근데 그놈과 일부 패키지들을 선택했더니 ibus는 설치가 됐는데 정작 한글은 입력할 수 없었다. 왜일까? 이리저리 검색해서 찾은 해답은 아래와 같다.

yum으로 한글 관련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해야한다.
ibus-hangul
ibus-anthy
위의 두개 패키지를 설치하면 입력방식 설정창에서 한글과 일본어를 추가할 수 있게된다. 근데 일본어는 왜 같이 추가되는걸까? 이것도 한번 찾아봐야겠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AIX에서 hosts file의 내용을 수정하려면 다른 설정도 하나 바꿔야 한다고 하더군요.
/etc/netsvc.conf 파일의 아래에 "hosts = local, bind"를 추가하고, /etc/hosts 파일을 수정해야 적용이 된다고 하더군요.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실제로 장비에 설치된 HDD 수량과 용량을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보통 nmon을 이용하면 AIX와 Linux에서 대략의 H/W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CPU 정보와 HDD 정보를 바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1. CPU 정보 확인
 1) Linux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or ( | wc -l : 이러면 갯수가 나오겠죠. ) 

 2) AIX
  # lsdev -Cc processor 혹은 lsdev -C | grep Process  ( | wc -l : 이러면 갯수가 나오겠죠. ) 


2. HDD 정보 확인
 1) Linux
   # cat /proc/scsi/scsi ( scsi HDD일 경우만 보임. )

 2) AIX
   # lspv  
   ( 물리적인 HDD를 나열해줌. ) 

   # lsdev -Cc disk
   ( lspv와 유사한 정보를 보여줌. )

   # lspv 디스크이름(예. hdisk0) | grep "TOTAL PPs"
   ( HDD의 용량이 표시됨. 당연한 얘기지만, grep 부분을 빼면 해당 HDD에 대한 정보가 다 표시됩니다. 총 크기, 현재 사용량... )


<참조 사이트>
Solarixer's Test Lab : Unix 시스템의 hdd 용량
哀邃 :  CPU/Memory/HDD 용량 파악법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디렉토리 상하 이동을 하다보면 좀 귀찮을때가 있죠. 디렉토리 이동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문서입니다. "cd -"는 꽤 쓸만하네요. 이런걸 이제야 알게 되다니... 참... 자세히 공부 안하고 지나친게 너무 많네요.
 
원문 보기 : 디렉토리 트리의 상하 이동

Anthony English, Senior AIX specialist, Levitar Pty Ltd

요약: 디렉토리 변경을 위해 사용하는 cd 명령은 UNIX® 쉘 명령을 학습할 때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명령 중 하나인데,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여러 디렉토리 사이에서 훨씬 쉽게 압축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몇 가지 손쉬운 방법을 배워 보십시오. 또한, cd 작업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공통 변수를 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찾아봅시다.


 IBM DeveloperWorks 한국어판 웹사이트에 올라온 번역 문서중에서 NFS 관련 문서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제목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과 Linux"입니다.

원문 링크

요약: NFS(Network File System)는 1984년에 등장했지만 여전히 진화하면서 분산 파일 시스템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NFS는 pNFS 확장을 통해 네트워크에 분산된 파일에 대한 확장 가능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분산 파일 시스템 뒤에 숨겨진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NFS의 최근 발전사항에 대해 알아봅니다.

참 오랫만에 IBM DeveloperWorks의 글을 소개하려한다. "Linux로 상용 하드웨어를 재활용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이라는 글인데, 읽어보면 한번쯤은 생각해봤던 내용이라는 생각이 들것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한번 읽어보자.

아래는 글의 서문을 발췌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보자. 원문 보기(클릭)

Linux 세계의 연금술

Linux 권위자인 H. Peter Anvin은 최근에 오래된 시스템의 용도를 파일 서버로 변경했다. 그는 잦은 보안 업데이트, RPM 기반 패키지 관리 시스템 및 서버에 적절하게 패키지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의 수를 근거로 하여 Fedora를 운영 체제로 선택했다. Anvin의 시스템은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6 구성에서 9TB의 새 하드 디스크를 호스트한다. 책상 아래에 사용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있었던 이전의 개발 시스템이 지금은 매우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아주 오래된 것은 아니지만,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는 것은 대체로 뭔가 문제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런 시스템은 오늘날과 같은 빠른 발전과 변화의 추세를 따라잡기에는 대체로 너무 느리고 이를 지원하기에 너무 오래된 것은 물론이고, 특히 보증 기간이 지난 경우 기술적으로 안정적이지 않다. 하지만, 시스템이 오래되었다고 그냥 버리기에는 너무 아깝다. 많은 회사와 가정에서는 이렇게 오래된 시스템을 학교나 도서관에 기증하여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런 시스템을 기증받아 사용하는 사람들 역시 그런 구형 시스템으로 뭘 할 수 있을지 몰라서 결국 하드웨어가 재활용 센터로 넘어가는 운명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자원 낭비일 뿐 아니라, 때로는 재활용 컴퓨터가 소위 제3세계 국가의 쓰레기 매립장이나 소각로로 보내지는 바람에, 전자 폐기물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낸다(자세한 내용은 참고자료 참조).

본 기사에서는 Linux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오래되긴 했지만 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용도를 변경함으로써, 구식 시스템에 서버,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씬 클라이언트로서의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방법을 설명한다.


 DB로 운영중인 AIX 서버의 Filesystem 용량을 변경해줘야할때가 있다. DBMS Patch 혹은 AIX Patch나 Upgrade 작업을 할때 바이너리 압축을 풀 공간이 부족하거나... 뭐 이런저런 이유로 말이다.
 AIX 장비를 운영중인 DBA라면 알고 있겠지만, AIX는 Volume Group으로 Disk를 묶어서 이를 필요한 마운트 지점에 올려준다. 표현이 부드럽지 않은면이 있지만, 뭐 잘 알아들으시리라 믿으며... (나중에 내가 이해 못하지는 않겠지. ㅋㅋㅋ) 암튼 그래서 이 방식의 장점은 운영중에도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Linux 장비에서도 LVM을 사용해서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면 이런식으로 쓸 수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 시도해보지는 않아서 Linux에서 LVM이 쓸만한지는 모르겠다.


[TEST1:/] su - root (엔터)   <= 당연한 얘기겠지만, root 계정으로 작업을 해야한다.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id를 모르겠다면 id라고 입력하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보여준다.

[TEST1:/] smitty jfs2 (엔터)  <= 이렇게 하면 관리자 화면이 뜹니다.
아래의 메뉴 중에서 위에서 세번째에 있는 메뉴가 바로 File System을 변경하는 메뉴입니다. 여기로 커서를 옮기고 엔터키를 누르면 해당 메뉴로 들어갑니다.
  Add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Add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on a Previously Defined Logical Volume
  Change / Show Characteristics of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emove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Manage Quotas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Defragment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List Snapshots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Creat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Mount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emov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Unmount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Chang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ollback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to a Snapshot


정상적으로 세번째 메뉴로 커서를 옮기고 엔터키를 눌렀으면 아래와 같은 선택 메뉴가 나온다. 어떤 파일시스템을 수정할것인지 선택하는 메뉴이다. 여기서 원하는 파일시스템으로 커서를 옮기고 마찬가지로 엔터키를 눌러주면 해당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File System Name                            
                                                                                                                          
                                             Move cursor to desired item and press Enter.                            
                                                                                                                         
                                               /                                                                     
                                               /home                                                                 
                                               /usr                                                                 
                                               /var                                                                  
                                               /tmp                                                                  
                                               /opt                                                                  
                                               /var/adm/ras/platform 

용량 수정을 할때 미리 단위(KB, MB, GB)를 설정해주고 크기를 수정해준다. 5 GB 정도 늘릴건데 단위를 KB로 해놓으면 숫자키 입력하기 바쁘지 않겠는가. 단위 선택을 잊지 말자.
단위 선택은 "Unit Size" 항목이며, 용량 설정은 "Number of units"이다.

                                                           Change / Show Characteristics of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Type or select values in entry fields.
Press Enter AFTER making all desired changes.
 
                                                        [Entry Fields]
  File system name                                    /tmp
  NEW mount point                                    [/tmp]
  SIZE of file system
          Unit Size                                   512bytes                                                                                                                       +
          Number of units                            [2097152]                                                                                                                        #
  Mount GROUP                                        []
  Mount AUTOMATICALLY at system restart?              yes                                                                                                                            +
  PERMISSIONS                                         read/write                                                                                                                     +
  Mount OPTIONS                                      []                                                                                                                              +
  Start Disk Accounting?                              no                                                                                                                             +
  Block Size (bytes)                                  4096
  Inline Log?                                         no
  Inline Log size (MBytes)                           [0]                                                                                                                              #
  Extended Attribute Format                          [v1]
  ENABLE Quota Management?                            no                                                                                                                             +
  Allow Small Inode Extents?                          no                                                                                                                             +

 입력이 다 끝나면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한 단축키(ESC + 4)를 눌러준다. 그러면 적용이 된다.
ESC + 4 : 용량 설정 후 적용할때 단축키

 그리고 smitty에서 빠져나가는 단축키(ESC + 0)을 눌러준다. 평소에는 F10을 눌러서 나갈수도 있는것 같은데 AIX 엔지니어가 이 단축키를 알려줬다. 아마... 뭔가 이유가 있겠지??? 이유를 알게되면 내용을 추가하겠다. 그럼 이만~~~
ESC + 0 : smitty에서 빠져나갈때 단축키

 UNIX 혹은 Linux 서버를 운영하는 관리자라면 객관적인, 혹은 보고서 작성을 위한 성능 분석 결과가 필요하게 된다. 현재 운영체제 성능 분석 및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들이 꽤 많이 나와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툴들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kSar와 nmon analyser라는 툴을 들어보셨을거다. 각각 sar와 nmon으로 만들어진 log 파일을 분석하는 툴이다. 자세히 얘기해보자.

1. kSar
 지인의 소개로 알게된 kSar는 sar라는 툴로 저장한 서버의 성능 관련 data를 분석하기 위한 GUI 툴이다. 소스포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링크는 http://sourceforge.net/projects/ksar이다. BSD 라이선스 정책을 따르며, 현재 최신 버전은 5.0.6이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2. nmon analyser
 nmon analyser는 nmon으로 저장한 서버 성능 데이타를 분석하기 위한 툴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에서 해당 엑셀 파일을 열어서 nmon log file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그래프로 보기 좋게 분석되어 나와서 나는 주로 nmon과 nmon analyser를 사용한다. nmon과 nmon analyser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엑셀이라는 유료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야만 결과를 알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마... 어딘가에 엑셀외의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아직 찾지 못 했다.

 nmon analyser는 이전에도 소개한 적이 있다. 아래의 글들을 보면 nmon analyser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알 수 있을것이다.
2009/04/10 - [Operating System] - NMON, NMON Analyser를 이용한 시스템 성능 리포트 만들기
2011/04/07 - [Operating System] - nmon analyser 3.3.f가 나왔네요.




nmon analyser의 새 버전이 나왔습니다.
오랫만에 nmon analyser 홈페이지에 가봤더니 올해 1월에 공개된 버전이 있더군요.

merge 기능에 옵션이 추가되었고, LPAR에서 1024개의 core를 지원하고, nmon for linux(13g / 14)도 지원한다고 합니다.
자세한건 원문을 참고하시길 ^^

V3.3.f fixes several problems and adds some new function:

  • Added ONLY option to MERGE - simply replaces nmonmerge
  • Merged files now have names that identify the host and time period covered
  • SMT mode is now identified on the CPU_ALL sheet
  • Supports changes in nmon for Linux (13g/14)
  • Supports 1024 cores per LPAR

+ Recent posts